수정일: 2025년 2월 1일

Insights in Cataract and Refractive Surgery (ICRS)는 한국백내장굴절수술학회의 공식 학술지로서 2월, 6월, 10월 말일 연 3회 발행한다. 본 학회지는 백내장 수술, 굴절 수술 등과 관련된 원저, 증례보고, 편집부에서 위촉한 종설 등을 게재한다.
논문은 다른 학술지에 발표된 적이 없으며, 다른 학술지에서 동시에 심사되고 있지 않아야 한다. 게재된 논문은 ICRS의 영구적인 소유가 되며, 저작권은 한국백내장굴절수술학회에 귀속된다. 본 학술지는 open access 학술지로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를 따른다.

Table of Contents

I. 연구출판윤리

연구출판윤리는 연구수행에 관련된 연구 진실성과 연구 결과, 출판과 관련된 출판 진실성을 모두 포함하는 윤리이다. 연구 및 출판윤리 관련 정책은 아래 기술한 내용을 따르며, 기술하지 않은 기타 사항은 Committee on Publication Ethics (COPE)의 Guidance (https://publicationethics.org/guidance), 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 (ICMJE)의 Recommendation (https://www.icmje.org/recommendations/) 또는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의 의학논문 출판윤리 가이드라인(http://kamje.or.kr)을 따른다.

1. 연구윤리

1) 날조, 변조, 표절
연구주제, 연구대상과 그 규모, 대조군의 설정, 연구 자료의 수집 방법 등이 연구윤리에 합당하여야 한다. 연구부정행위에는 존재하지 않는 연구 결과를 거짓으로 만드는 날조, 조작을 통해 연구결과를 변경 누락시키는 변조,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나 연구기록 등을 도용하는 표절 등이 없어야 한다.

  • 2) 생명윤리와 동의서
  • • 인간을 대상으로 한 모든 연구에서는 방법 섹션에 ‘헬싱키선언(Declaration of Helsinki)을 준수하였다’는 내용을 포함시켜야 한다.
  • • 인간, 인체유래물, 의무기록을 대상으로 한 모든 연구는 ‘방법’ 세션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을 받았다’ 또는 ‘면제받았다’는 내용을 포함시켜야 한다. IRB 승인을 받은 경우 IRB 승인번호를 명기해야 한다.
  • • 인간에 대한 실험적 연구의 결과를 보고하는 논문에는 ‘방법’ 섹션에 ‘환자로부터 동의서(informed consent)를 받았다’는 내용을 포함시켜야 한다.
  • •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방법 섹션에 ‘The Association for Research in Vision and Ophthalmology (ARVO) Statement의 권고사항을 준수하였다’는 것을 포함시켜야 하며 관련된 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의 연구에 대한 승인을 받을 것을 권고한다.

3) 성/젠더에 대한 고려
생물학적 요인을 보고할 때에는 성별(sex), 정체성, 정신사회적 또는 문화적 요인을 보고할 때는 젠더(gender)로 정확히 사용하고 불가피하지 않으면 연구 참여자의 성별 또는 젠더, 동물 또는 세포의 성별을 보고하고 성별과 젠더를 결정하는데 사용된 방법을 기술한다. 한정적인 인구에 대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면, 예를 들어 하나의 성별에 대해서만 연구가 진행되었다면, 분명한 경우(예: 전립선암)를 제외하고 저자들은 그 이유를 정당화하여야 한다. 저자들은 그들이 어떻게 인종이나 민족을 결정하였는지 정의하고 그 타당성을 입증하여야 한다.

2. 저자의 기준 및 책임

  • 1) ICRS는 ICMJE의 저자 기준을 따른다. 모든 저자는 다음 4가지 자격요건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① 연구의 구상이나 설계에 또는 자료의 획득, 분석, 해석에 상당한 공헌, ② 연구 결과에 대한 논문의 작성 또는 중요한 학술적 내용의 수정, ③ 출판될 논문 원고의 최종 승인, ④ 연구의 정확성 또는 진실성에 관련된 문제를 적절히 조사하고 해결하는 것을 보증하고 연구의 모든 부분에 책임을 진다는 것에 동의.
  • 2) 책임저자의 역할: 책임저자는 원고 접수, 전문가 심사, 출판 과정에서 편집위원회와 직접 연락을 취하는 저자이어야 하며, 저자정보 제공, 윤리위원회 승인, 임상실험 등록, 이해충돌 명시서 취합 등 편집위원회 요구에 협조하여야 한다. 출판 후에도 논문에 대한 논평에 회신하고, 편집위원회에서 논문에 사용된 데이터나 추가 정보를 요청하면 협조해야 한다.
  • 3) 특수관계인
    • ① 미성년자(만 19 세 이하인 자) 또는 가족(배우자, 자녀 및 4촌이내의 족; 이하‘특수관계인’이라 함)이 참여한 논문은 연구 및 논문작성에 대해 특수관계인의 명확한 기여가 있어야 한다.
    • ② 특수관계인과의 공동 연구 논문은 논문 투고 시 ‘특수 관계인과 논문 공저 시 사전공개 양식’을 제출한다.
  • 4) 저자 변경: 논문 투고 후에 저자를 추가/삭제하거나 순서를 바꿀 경우 모든 저자의 사인을 받아 편집위원회에 제출한다. 논문 게재 승인 후에는 저자를 변경할 수 없다.

3. 중복출판

다른 학술지에 투고하여 전문가심사 받는 중이거나 이미 발표한 논문을 우리 학술지에 투고나 게재할 수 없으며, 우리 학술지에 출판한 논문은 편집위원회 허락 없이 다른 학술지에 투고나 게재할 수 없다. ICRS에 실린 그림과 표는 출처를 밝히고 연구나 교육 등 비영리목적으로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다. 다른 학술지나 단행본 등에 실린 표나 그림을 투고 논문에서 인용할 때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에 따른 open access 자료가 아닐 경우 저자는 저작권자로부터 서면 허락을 받아야 한다.

4. 이해관계

저자는 제출하는 논문에서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에 그 내용을 밝혀야 한다. 이해관계는 저자나 저자의 소속기관, 심사자, 편집인이 재정적이거나 개인적 관계가 있어 원고 작성, 심사와 출판 과정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를 말한다. 저자가 특정 회사와 관련된 기관에 고용되었거나, 자문을 하거나, 자신이나 가족이 회사 주식을 소유하거나, 사례금 또는 여행경비를 지원받는 등 재정적 이해충돌로 해당 논문 진실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해관계는 재정적인 것만은 아니고 인간관계, 학문적 경쟁, 지적 열정 등으로 인하여 나타날 수 있다. 이해관계는 늘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것은 이를 명확하게 밝히는 데 있다. 이해관계를 밝힌 경우 편집자, 심사자, 독자들은 그 상황을 이해한 후 논문을 심사하거나 읽으면 충분하다.

5. 연구출판 윤리 위반 처리 및 편집위원회의 책임

연구와 출판의 부당행위, 즉 이중투고, 이중게재, 표절, 제조된 데이터, 저자변경, 밝혀지지 않은 이해관계, 논문제출과 관련된 윤리문제, 저자의 아이디어나 데이터에 충분한 검토 여부 등이 필요한 경우는 COPE의 처리 순서도(https://publicationethics.org/guidance/flowchart/all-flowcharts)를 따른다. 의심되는 사례에 대해서 편집위원회에서 토론과 결정이 이루어진다.
편집위원회는 내용 진실성 유지, 상업적 요구 배제, 출판물 수정이나 철회, 표절과 날조 자료 거르기(screening) 등 출판윤리와 진실성을 확립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한다. 투고 논문은 Similarity Check 로 점검하여, 유사도 값이 높으면 중복출판이나 표절여부를 세세히 살핀다. 편집인은 투고 논문의 게재 여부 결정에 최종 책임을 지고, 이해충돌 여부를 살피고, 오류 수정 요청하거나, 심각한 위반이 있으면 철회 권유하며, 심사자 익명을 지키는 등 여러 의무에 만전을 기한다.

II. 저작권과 라이선스

1. 저작권

게재된 원고의 저작권은 한국백내장굴절수술학회가 소유하며, 모든 저자는 저작권에 관해 동의를 한 것으로 인정한다. 원고를 투고할 때 모든 저자의 사인을 받은 ‘저작권이양동의서’를 제출한다.

2. 라이선스

ICRS는 open access 학술지로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를 따른다. 비영리 목적인 경우 편집자의 허락 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영리를 목적으로 본 자료를 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편집위원회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

III. 원고 준비

제출하는 파일의 원고는 영문 또는 국문으로 MS word를 이용하여 작성하고 줄 간격은 2행 간격으로, 글자크기는 10 point로 한다. ① 표지, ②초록과 키워드, ③ 본문, ④ 참고문헌, ⑤ 그림 또는 사진과 그에 대한 설명, ⑥ 표 순으로 한다.

1. 표지(Title page)

  • 1) 제목: 한글 제목은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50자 이내, 영문 제목은 20단어 이내 로 한다. 한글 제목은 가능한 한글만을 사용하고, 제목에는 상품명과 약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 2) 저자의 성명, 소속: 국문과 영문으로 기입하고 책임저자의 경우는 이메일 주소 및 연락처까지 기술한다. 저자의 ORCID 번호가 있는 경우 함께 기재한다. ORCID (https://orcid.org/)는 누구나 무료로 만들 수 있다.
  • 3) 추가정보: 저자의 역할, 이해관계, 연구비 수혜사항, 데이터 공유관련 정보를 영문으로 기재한다.
    • • 저자의 역할: 모든 저자의 역할은 CRediT (contributor role taxonomy; https://credit.niso.org/)의 기준을 참고하여 기재한다.
    • • 이해관계: 연구 및 논문 작성 과정에서 이해관계가 있을 경우 그 내용을 기재한다. 저자 중에 편집위원이 포함된 경우 반드시 밝혀야 한다. 이해관계가 없을 경우에는 “None”으로 기재한다.
    • • 연구비 수혜사항: 연구비 수혜 정보를 연구비 번호 포함하여 기재한다. 연구비를 받지 않은 경우에는 “None”으로 기재한다.
    • • 데이터 공유: ICRS는 데이터공유를 권장한다. 논문에 사용된 데이터(raw data)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기재한다.
[샘플]
  • ① 공공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에 업로드된 경우: The datasets generated and/or analyzed during the current study are available in the [Repository Name] repository, accessible at [URL or DOI].
  • ② 교신저자에게 요청하는 경우: Data of this research are available from the corresponding author upon reasonable request.
  • ③ 모든 데이터가 논문에 포함된 경우: All study-related data are included in the publication or provided as supplementary information.
  • ④ 공유할 자료가 없을 경우: Data sharing is not applicable to this article as no new data were created or analyzed in this study.

2. 초록과 키워드

한글로 작성된 논문은 국문과 영문으로 초록을 모두 기재하며, 영어로 작성된 논문은 영문 초록만 작성한다.

  • 1) 영문 초록: 영문 요약은 300 단어 이내로 국문 초록의 전체 내용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작성은 Purpose, Methods, Results, Conclusions의 구성형식으로 제목을 볼드체로 가장 앞줄에 기술하며 그 내용은 보통체로 간단명료하게 기술하며 구체적 데이터를 제시한다. 논문의 내용을 대표할 수 있는 5개 이하의 Keywords를 알파벳 순으로 기재하며 각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기재한다. 종설의 초록은 300단어 이내의 비구조형식으로 작성한다.
  • 2) 국문 초록: 전체 논문의 내용이 독립적으로 이해되도록 작성해야 한다. 초록에는 무엇이 왜 어떻게 연구되었으며 그 결과와 의의가 무엇인가를 기술한다. 또한 초록은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800자 이내로 한다. 작성은 목적, 방법, 결과, 결론의 구조형식으로 제목을 볼드체로 가장 앞줄에 기술하며 그 내용은 보통체로 간단명료하게 기술하며 구체적 데이터를 제시한다. 논문의 내용을 대표하는 5개 이하의 중심 단어를 영문 키워드와 동일한 순서로 기재한다. 종설의 국문 초록은 800자 이내의 비구조형식으로 작성한다.

3. 본문

원저의 경우 아래의 형식에 따라 작성한다.

  • 1) 서론: 연구의 목적을 간결하고 명료하게 제시하며, 배경에 관한 기술은 목적과 연관이 있는 내용만을 분명히 기재한다. 논문과 직접관련이 없는 일반적 사항은 기재하지 않는다.
  • 2) 방법: 연구의 계획, 대상과 방법을 순서대로 기재한다. 대상 집단이 어떻게 구성되었으며, 어떻게 관찰되었는지를 상세히 기록한다. 실험방법이 주안점인 경우 재현 가능하도록 구체적으로 기재한다. 임상연구의 경우 IRB 승인과 informed consent 관련 내용을 기재한다.
  • 3) 결과: 연구결과를 명료하고 논리적으로 나열하고, 실험인 경우 실측치에 변동이 많은 생물학적 계측에서는 통계처리를 원칙으로 한다.
    표를 사용할 경우 논문에 표의 내용을 중복 기술하지는 않으며, 중요한 경향 및 요점만 기술한다.
  • 4) 고찰: 고찰에서는 역사적, 교과서적인 내용, 연구 목적과 결과에 관계 없는 내용은 줄이고, 연구 목적에 합당하고 요약 또는 결론 유도과정에서 필요한 내용을 저자의 결과와 비교 관찰하여 기재한다.

      4. 참고문헌

      참고문헌 작성 시에 아래 기준에 따르며, 아래 기준이 없는 경우는 ICMJE의 참고문헌 작성 양식(https://www.nlm.nih.gov/bsd/uniform_requirements.html)을 따른다.

      • 1) 참고문헌은 영문의 Vancouver style로 작성하며, 학술지명은 약어로 표기하면서 단어의 처음자는 모두 대문자로 기입한다. 학술지의 약어는 NLM Catalog (https://www.ncbi.nlm.nih.gov/nlmcatalog/journals/)의 약어 기준에 따른다.
      • 2) 참고문헌은 본문에 인용된 순서대로 일련번호를 써야 하며 본문 중에 일단 문헌이 인용되면 참고문헌의 번호와 같은 번호가 인용된 인용문의 끝에 대괄호 [ ]로 기록한다.
        • ① 참고문헌의 저자를 본문에 쓸 때는 1, 2인은 이름을 다 쓰고 3인 이상은 “et al.”로 사용한다.
          예) 영문 one author: Kim [1], two authors: Kim and Park [2], three or more: Kim et al. [3]
          국문 1인 저자: Kim [1], 2인 저자: Kim과 Park [2], 3인 이상: Kim 등[3]
        • ② 참고문헌으로 기재할 때는 성을 앞에 쓰고, 이름은 영문 이니셜로 대문자만 성 뒤에 쓴다. 4인 이하의 저자인 경우 저자 모두를 기재 하며 5인 이상인 경우 최초 3인 이후에 “et al.”로 끝맺는다. 저자, 제목, 학술지명, 발행년도, volume 수, 페이지(처음은 완전한 숫자를, 끝 페이지는 앞부분이 중복되는 숫자는 생략)로 이탤릭체 없이 기재한다.
        • ③ 본문 중에 인용되지 않은 문헌을 참고 문헌에 기재할 수 없으며 미발표 논문은 게재예정으로 확정된 경우 “□월 발표예정”라는 단서로 참고문헌으로 사용한다.
        • ④ Cited from, 초록, 포스터, 구연, manufactured manual, web page등은 참고문헌으로 인정치 않는다.
        • ⑤ 단행본(책)인 경우에는 저자, 책 제목, 판수, 볼륨수, 출판사, 출판연도, 인용한 페이지(처음은 완전한 숫자를, 끝 페이지는 앞부분이 중복되는 숫자는 생략)를 포함하여 이탤릭체 없이 기재한다.
      • • 학술지의 논문
        • 1. Lee JM, Hwang KY, Hwang HS, Kim MS. Long term clinical results of penetrating keratoplasty for macular corneal dystrophy.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1425-31.
        • 2. Bonnet PO, Mason R, Single RL, et al. Hereditary retinal dystrophy. Am J Ophthalmol 1996;122:651-61.
      • • 단행본 및 단행본의 장(chapter)
        • 3. Miller NR. Walsh and Hoyt’s Clinical neuro-ophthalmology, 4th ed. Vol. 4. Williams & Wilkins; 1991.
        • 4. Parks MM, Mitchell PR. Cranial nerve palsies. In: Tasman W, Jaeger EA, editors. Duane’s clinical ophthalmology. Revised ed. JB Lippincott; 1993. p. 55-101.

      5. 그림 및 사진

      • 1) 그림 및 사진은 논문 내에 별도의 용지로 각각 독립시키고, 사진 하단에는 본문에 삽입된 순서대로 그림의 번호를 붙이고 ‘Fig. 번호’ 형식으로 표시한다(예, Fig. 1, Fig. 2). 영문제목은 절과 구의 형태로 기술하며, 첫 글자만 대문자로 시작하고, 말미에 구두점을 찍는다.
      • 2) 그림이나 사진 파일의 형식은 JPG, PSD, TIFF 형식이 모두 가능하며, 해상도는 500만 이상 pixels, 컬러 300 dpi, 회색조인 경우 900 dpi, 흑백인 경우 1,200 dpi 이상이어야 한다. 사진의 크기는 가로는 8 cm 또는 17 cm로 하고 세로 길이의 제한은 없다.
      • 3) 이해를 돕는 화살표, 표시, 글씨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한 장의 사진 안에 여러 장의 사진이 포함될 경우 각각의 사진 내 좌측 상단 코너에 대문자 알파벳을 순서대로 표기한다.
      • 4) 설명은 영문으로 기재해야 하며, 본문에 의하지 않고도 충분히 이해되어야 하고, 모든 그림에 사용된 약자는 기술하여야 한다. 현미경사진은 염색법 및 배율이 표기되어야 하고(예: H&E, ×400) 전자 현미경 사진은 internal scale, 확대율(예: original bar length 100 μm, ×5,000)을 표기해야 한다.
      • 5)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정보(환자 이름, 병원 환자등록번호, 생년월일 등)은 제거되어야 한다. 사진을 게재하고자 할 때에는 개인정보의 노출 및 개인식별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다음 각 항목에서 1개 이상 해당하는 경우 환자 동의서를 반드시 첨부해야 한다.
        • ① 내용의 서술에서 특정 지역 및 장소, 환자의 정보가 노출되어 개인 식별이 가능한 경우
        • ② 국가적인 사건이나 사고와 관련되어 내용에서 특정 지역 및 장소가 노출되어 서술을 통해서 개인의 식별이 가능한 경우
        • ③ 환자 사진을 통해 개인 식별이 가능한 경우: 얼굴 전체가 노출되는 경우; 사진들 중 1 컷 이상에서 상측으로 눈썹 상단을 기준으로 환자의 2 각막직경 이상, 가쪽으로 가쪽 눈구석(lateral canthus)에서 1각막직경, 하측으로는 아래 눈꺼풀에서 2 각막직경 이상 노출되는 경우; 위 항목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얼굴의 문신, 흉터 등의 표식으로 환자의 식별이 가능한 경우; 개인 식별이 어렵더라도 성기 부위의 피부 병변이 노출되는 경우

      6. 표

      • 1) 영문제목은 상단에 절과 구의 형태로 기술하며, 첫 글자만 대문자로 시작하고, 말미에 구두점은 찍지 않는다.
      • 2) 영문과 숫자를 사용하여 본문의 글자체와 동일하게 작성하며 줄 간격은 1줄 간격으로 한다.
      • 3) 제목은 표 상단에 표시하고 본문에 인용되는 순서에 따른 일련번호와 제목이 있어야 한다.
      • 4) 표 하단에 주석 설명 시 기호(a), b), c), ...) 순서대로 표기하되 간결하게 설명한다.
      • 5) 통계치가 필요한 경우 P-value를 반드시 언급하고 통계 방법을 기술하며, 모든 데이터의 단위도 언급하면서 소수점 아래는 통일시킨다 (예: 소수점 둘째 자리 혹은 셋째 자리).
      • 6) 표 안쪽에는 사선이나 수직선은 사용하지 않고,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작성한다.
        • ① 가로줄은 맨 바깥쪽의 위, 아래줄과 항목 아래줄, 총합의 윗줄만 둔다.
        • ② 정렬양식은 맨 좌측의 항목 왼쪽맞춤을 사용하고, 데이터는 가운데 맞춤을 사용한다.

      7. 증례보고

      • 1) 아래에 기술한 증례보고 투고안내 이외의 사항은 원저의 투고안내와 동일하다.
      • 2) 증례보고는 표지(국문과 영문제목, 저자), 요약(국문과 영문), Keywords, 서론, 증례보고, 고찰, 참고문헌, 그림 또는 사진과 그에 대한 설명의 순서로 기술한다.
      • 3) 한글 초록은 목적, 증례요약, 결론(생략 가능)의 구성형식으로 제목을 볼드체로 가장 앞줄에 기술한다. 내용은 보통체로 간단명료하게 기술하고,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600자 이내 이어야 한다.
      • 4) 영문 초록은 250단어 이내로 국문요약의 전체 내용을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어야 하며, 작성은 Purpose, Case summary, Conclusion의 구성 형식으로 한다. 제목은 볼드체로 가장 앞줄에 기술하며 그 내용은 보통체로 간단명료하게 기술한다.
      • 5) 5개 이하의 Keywords를 알파벳순으로 기재하며 각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기재하며, 분량은 제목, 요약, 영문요약, 그림을 제외한 A4용지로는 10 Point 8매 이내로 한다.
      • 6) 다음 6가지 중 한 가지 이상에 해당된 경우만 증례 보고로 게재한다.
        ① 희귀한 질환; ② 증상이 기존 것과 다른 경우; ③ 새로운 진단 또는 치료를 한 경우; ④ 국내 최초의 보고; ⑤ 한국인에서의 특이한 현상; ⑥ 학술적 의미가 있는 경우
      • 7) 가능한 참고문헌은 15개 이내, 그림은 4개 이내로 작성한다.

      IV. 원고 제출

      모든 원고의 접수는 ICRS 온라인 논문투고 시스템(https://submit.e-icrs.org/)을 통해서 가능하며, 이후의 모든 심사와 편집과정 또한 이를 통해서 진행된다. 논문심사의 진행과 이와 관련된 질의 및 답변은 온라인 논문투고 시스템에서 항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별도로 심사 단계의 변화가 있을 때마다 이에 관한 정보가 교신저자에게 전달된다. 원고를 투고하기 전에 반드시 투고규정과 저자 점검 사항(checklist)을 검토한 후 원고를 제출한다. 논문투고자는 ‘저작권 양도에 대한 동의서’를 내려받기 하여 모든 저자의 서명을 기재한 후 업로드 해야 논문투고 접수를 마칠 수 있다.

      V. 전문가 심사

      투고된 모든 원고는 2인 이상의 해당분야 전문가가 심의한다. 심의위원의 견해는 객관적이어야 하고, 어떠한 이해충돌도 없어야 하며, 심사대상 원고에 대한 비밀을 지켜야 한다.
      전문가 심사에 따라 편집위원회에서 저자에게 원고의 수정을 요청한 경우, 저자는 4주 이내에 심사 의견에 따라 원고를 수정하고, 수정된 부분을 항목별로 상세히 작성하여 ‘저자 답변서’와 함께 수정된 원고를 온라인 논문투고 시스템에 접속하여 재접수 한다. 수정권고를 받은 저자가 수정권고 후 3개월 이상 수정·보완 원고를 제출하지 않았을 경우 논문게재를 포기한 것으로 간주한다.
      원고의 최종 게재여부는 전문가심사과정을 거친 후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또한 편집위원회는 본 규정에 맞지 않는 원고에 대하여 수정을 권유하거나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논문 게재가 결정된 후, 저자는 PDF 형식의 논문파일을 받게 되며 7일 내로 저자정보, 논문 내 오타 등 오류를 확인하여 필요시 교정을 요청 할 수 있다. 게재 결정 후 투고 규정에 반하는 중대한 오류가 발견되었을 경우 편집위원회는 저자에게 수정을 요청하고, 해당 내용에 대한 수정이 완료될 때까지 게재가 미루어 질 수 있다.

      VI. 논문출판 비용

      저자들은 무료로 논문 투고, 게재한다. 논문 투고, 심사, 출판 관련 모든 비용은 한국백내장굴절수술학회의 지원으로 이루어진다.

Copyright© Korean Society of Cataract and Refractive Surgery.
Editorial Office
Room 216, 183 Yanghwa-ro, Mapo-gu, Seoul, 03994 Korea
Tel: +82-2-6403-4300  FAX : +82-2-6442-8528   E-mail: kscrs@kscrs.org      Privacy Policy      Powered by M2PI